/ 문 화 - 력사
민속명절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은 설명절 , 추석과 함께 우리 인민들이 즐겨 쇠여온 민속명절의 하나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음력 1월 15일을 정월대보름날로 정하고 대보름명절에 새해의 행운과 풍년이 들기를 바라는 소박한 념원을 반영한 여러가지 의례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올해의 정월대보름은 양력 2월 12일입니다.
  대보름명절의 의례행사는 전날 즉 음력 1월 14일부터 시작되였는데 그래서 이날을 작은보름날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럼 대보름명절의 의례행사에 대해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 연구사 박사 조명철의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작은보름날은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가 위주로 진행된 날이였습니다.
  이날에는 낟가리대에 여러가지 곡식이삭들을 달아매고 그 아래에는 풍년을 념원하는 글을 쓴 기발을 달았습니다. 낟가리대를 세우면 어린이들은 그 주변을 돌면서 서로 춤추고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이날 아침일찍 두엄을 논밭에 내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특히 대보름날 저녁에는 사람들 모두가 산에 올라가 솟아오르는 둥근달을 구경하였는데 이것을 달맞이라고 하였습니다.
  사람들은 떠오르는 달을 먼저 본 사람에게는 그해 행운이 차례진다고 하였으며 보름달의 모양을 보고 한해농사의 흉풍을 예언하기도 하였습니다.
  달맞이를 한 다음에는 홰불을 켜들고 들판에 나가 잡초를 태워버리는 홰불놀이를 하였습니다.
  이런 놀이는 겨울난 돌피와 잡초씨, 해충들을 없애기 위한것으로서 그해 농사에 도움을 주었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날에는 다양한 민속놀이들도 진행되였습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에는 연띄우기와 바람개비놀이, 바줄당기기 등이 있었습니다.
  대보름명절날이면 사람들은 민족음식들을 차려놓고 서로 나누어먹으면서 즐겁게 지냈습니다.
  명절음식으로는 오곡밥과 9가지 마른나물찬 등을 들수 있습니다.
  이처럼 대보름날의 여러가지 풍습들은 우리 인민들의 생활과 밀접히 련관되여 발전하여왔습니다.



  오늘 정월대보름은 우리 인민들의 전통적인 민속명절로 계승발전되고있습니다.